“재무제표를 읽으면 기업이 보인다” / 새로운 제안 / 홍성수
재무제표는 일정 기간(사업년도) 동안의 경영성적과 특정 시점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보고서를 말한다. 또 연말에 결산을 해서 만드는 서류라는 의미에서 결산서라고도 한다.
1. 대차대조표(재산상태표, 재무상태표): 특정 시점에 기업의 자금을 어디에서 얼마큼 조달하여 이러한 자금을 어떠한 자산에 얼마큼 투자하였는지를 보여주는 보고서이다.
자산: 회사가 영업활동을 위해 보유하고 있는 재산을 말한다. 부채: 현재 또는 미래에 타인에게 지급할 채무를 의미한다. 자본: 사업을 시작하기 위해서 또는 사업 중에 사업주가 투자하는 자금(돈)을 의미한다.
유형자산의 내용 년 수
5년: 차량운반구, 공구, 기구 및 비품(감가상각비가 판매비와 관리비를 구성하는 경우에 한한다)
20년: 연와조, 블록조, 콘크리트조, 토조, 토벽조, 목조, 목골몰탈조, 기타조의 모든 건축물
40년: 철골,철근콘크리트조, 철근콘크리트조, 석조, 연와석조, 철골조의 모든 건축물
5~20년: 업종별 기계설비
무형자산 내용 년 수
3년: 창업비
5년: 영업권, 의장권, 실용신안권, 상표권
10년: 특허권, 어업권, 해저광물 자원 개발법에 의한 채취권, 유료도로관리권, 수리권, 전기가스공급시설이용권, 공업용수도시설이용권, 수도시설이용권, 열공급시설 이용권
20년: 광업권, 전신전화정용시설이용권, 전용측선이용권, 하수종말처리장시설관리권, 수도시설관리권
50년: 대사용권
2. 손익계산서: 일정 기간(사업년도) 영업활동을 하면서 실적이 양호한지 여부를 보여주는 성적표라고 할 수 있다.
인건비 관련비용 급여: 판매 및 관리업무에 종사하는 모든 임직원에게 지급되는 보수나 상여 및 제수당을 말한다.
상여: 급로 이외에 주는 보너스를 말한다. 제수당: 근로기준법의 규정에 의해 지급하는 시간외수당, 야근수당, 휴일수당, 직책수당 등을 말한다.
3.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결손금처리계산서): 경영활동 결과 남은 이익을 배당할 계획인지 또는 사내에 적립할 계획인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4. 현금 흐름표: 과거에 자금 운용표 또는 재무상태변동표라고 하는 서류의 명칭이 변한 것으로 회사가 사업 년도 중 자금을 어디에서 조달하여 어떻게 사용하였는지를 보여주는 보고서이다.
재무제표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결국 기업의 재무상태를 보여주는 대차대조표와 경영실적을 보여주는 손익계산서라 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기초지식, 즉 재무제표를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다. 즉 기업의 객관적인 실체를 알기 위해서는 회계자료를 제대로 보는 것이 중요하다.
회사는 부족자금을 조달하기 위해서는 ① 증권시장을 통해 유상증자를 하거나 ② 회사채를 발행하여 융통하거나 ③ 은행이나 종합금융회사 등의 금융기관을 통해 빌리게 된다.
우리나라 회사(법인사업체)의 숫자가 24만개(1999년말 기준) 이상이 되기 때문에 최소 24만 명의 인원이 필요하게 된다.
모든 회사가 결산공고를 하는 이유는 상법과 세법에서 이를 강제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총자산이 70억 원 이상으로 공인회계사의 회계감사(외부감사)를 받는 회사는 관련 법률에 따라 결산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대차대조표와 함께 감사의견을 일간신문에 공고해야 한다.
나무를 보기 전에 먼저 숲에 대한 개략적인 모습을 그려보아야 회사의 전반적인 영업구조나 재무구조를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업의 재무제표를 분석하는 이유는 회사가 현재 처해 있는 실상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어떻게 개선함으로써 보다 나은 미래의 목표를 달성할 것인가를 계획하는데 있다.
따라서 회사가 미래에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명확히 그리기 위해서는 재무제표의 설계가 필요하다.
위험(Risk)이란 기대치에서 벗어나는 정도를 말한다. 산업위험, 경영자위험(위험요소 중 가장 중요한 부분), 영업위험, 재무위험, 기타위험(천재지변위험)이 있다. 끝. '09.10.18 2012.9.11
'집을 나간 책(冊)'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세기 한국서 가장 많이 읽힌 책은? (0) | 2007.05.22 |
---|---|
이 건 희 (0) | 2007.05.22 |
절망이 아닌 선택 (0) | 2007.05.19 |
제자백가 (0) | 2007.05.18 |
좋은 아빠가 되기 위한 1분 혁명 (0) | 2007.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