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부자들 / 한상복/ 위즈덤하우스
부자들은 뛰어난 두뇌의 소유자들이다. 돈을 버는 것은 삼각함수 문제를 다루는 것보다 훨씬 어렵고 심오한 공부다. 부자들은 보통 사람들보다 한발 앞서간다. 그들이 걸어간 길과 나의 지금 처지를 비교해 보면 의외로 많은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다시 한번 나를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 이 책을 통해서 한 번 더 삶을 재조명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나에게 지속적인 자극을 줄 수 있는 책이다.
사업 또는 투자 밑천이 없는 사람은 끊임없는 노력을 통해 기회를 만들 수 있다. 반면 신용을 얻지 못한 사람에게는 기회가 오지 않는다.
가난한 사람들이 스스로를 지키는 데 실패한다면 곧바로 부자들의 먹이가 된다. 나도 베풀면서 살고 싶다. 문제는 베풀 곳이 너무 많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만큼 삭막한 자본주의 원칙에서 예외가 많은 곳이 없다. 우리나라에서는 헌법의 상위에 있는 법이 ‘국민 정서법’이다. 그래서 미국처럼 칼로 베듯이 하지는 못한다.
영어를 잘하기 위해서는 매일 새벽 5시에 일어나서 영어학원에 다녀야 한다. 그리고 휴대용 카세트를 들고 다니면서 테이프가 너덜거릴 때까지 회화를 들어야 한다. 집에서는 하루 종일 TV로 미군 방송을 본다.
인생 자체가 전쟁이다. 사람들은 수많은 경쟁상대와 싸워야 한다. 인생의 전반전보다 후반전은 피가 튀는 혈전이다. 앞에서는 웃는 낯이지만 뒤돌아서면 시퍼런 칼날의 언저리가 보인다.
정부와 부자들 간의 관계는 항상 견제와 균형을 유지한다. 정부는 경기가 달아오를 때 ‘세금을 많이 내라’고 부자들을 윽박지르는 한편, 경기가 바닥일 때는 러브 콜을 보낸다. ‘돈을 좀 풀라’는 애원을 한다.
부자들의 돈벌이 중 가장 많은 것은? 첫째 부동산 임대료 수입, 둘째 운영하는 회사 또는 사무소, 점포(병원 등 포함) 등에서 나오는 수입, 셋째 증권(주식, 채권) 투자를 들었다.
부자가 되려면 경기의 흐름을 읽는 안목을 길러야 한다. 경기를 살필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은 신문을 보는 것이다. 특히 광고를 광고는 어김없는 경기지표이다.
세상에 편하게 돈 벌어 자동으로 부자가 되는 직업은 없다. 의사나 변호사가 된 것과 부자가 되는 것은 별개의 문제다. 부자가 되겠다면 다른 시작을 각오해야 한다.
주식투자를 하려면 최소한 그 기업의 재무제표와 사업계획서 정도는 볼 줄 알아야 한다. 매출을 얼마나 올렸고? 이익은 내고 있는지? 현금 흐름은 어떤지? 앞으로 전망은 어떤지 등을 주의 깊게 살펴야 한다. 신문이나 뉴스에는 모든 정보가 있다. 그러나 누구나 아는 것은 정보가 아니다.
루머를 믿고 천금같은 돈을 투자한다는 것은 등잔불을 향해 달려드는 불나방과 다를 바 없다.
신입사원들이 가장 좋아하는 업무는 기획 관리나 재무, 홍보 등의 분야다.
집을 장만하는 데 돈은 전부 모아서 사는 것이 가장 좋겠죠. 그런데 세상이 어디 기다려주나요. 저축해서 달려가면 이미 팔리고 없는걸요. 돈이 부족하다고 자꾸 미루면 기회가 없어집니다.
부자들 대부분은 자신의 소득과 세금을 손수 관리한다. 그래서 일단 저질러 놓고 그것은 막는 과정은 고통스럽다. 부자가 되는 과정에 고통은 필수적인 것이다.
돈 거래 관계의 경우 가까운 사람일수록 서로 조심해야 한다. 한 번 돕지 않아서 원망을 살 수는 있겠지만, 돕다가 같이 망해 불구대천의 원수가 되는 것보다는 낫다는 것이다.
상속 증여세에는 누진율이 적용된다. 1억 원 이하는 세율이 10%이지만, 10억 원이면 30%다. 30억 원을 넘으면 무려 50%다. 절반을 세금으로 내야 하는 형국이다.
부유층만을 대상으로 했던 초등학생 해외연수 프로그램이 월급쟁이 동네까지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방학을 마치고 등교한 아이들 간에 패가 나뉜다. 하나는 외국에 다녀온 쪽이고 다른 하나는 대화에 끼지 못하는 쪽이다. 국내 학원에서 배운 영어발음이 어설프다고 따돌림을 당한다. 끝. '09.10.3 / '11.5.22 / 2012.8.25 /
'집을 나간 책(冊)'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학 일기 Ⅱ (0) | 2007.05.13 |
---|---|
프로비즈니스맨의 회계 상식 (0) | 2007.05.12 |
행복한 가정 성공한 가정 (0) | 2007.05.09 |
홍세화 빨간신호등 (0) | 2007.05.06 |
화(anger) 화가 풀리면 인생도 풀린다 (0) | 2007.05.05 |